|
제목 |
서비스 특성과 혁신지원체제의 관계에 관한 실증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
저자(소속) |
이영주, 김홍석, 최봉현 / 산업연구원 |
|
자료유형 |
KIET 산업경제 |
|
발행일 |
2009년 4월 27일 |
|
원본출처 |
산업연구원 |
|
파일형태 |
|
|
페이지 수 |
11page |
|
요약 및 목차 |
|
혁신지원체제의 구축만으로 서비스 혁신을 도모하기 힘들 수 있다. 서비스산업의 경우 업종 간 이질성이 높고 혁신 수요와 혁신활동들이 다양한 만큼 이를 감안한 혁신지원 활동이 이루어져야 혁신 지원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특성을 감안한 혁신지원체제에 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서비스 특성별로 서비스 혁신활동과 서비스 혁신지원체제의 관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여 서비스산업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 대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술의존형 서비스와 설비의존형 서비스로 구분한 특성별로 혁신활동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혁신지원체제와의 관련성도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혁신지원체제 수립 시 서비스의 이질성을 감안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산업 혁신지원체제 구축 시에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이 조화로운 역할분담과 혁신성과물의 보호 장치 등에 관한 제도적 보완 등을 뒷받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혁신수요의 발굴 및 R&D 연계 등과 같이 민간부문의 강점이 예상되는 분야에서 민간전문가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혁신지원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의 서비스산업 이전 및 확산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바우처제도와 같은 제도적 장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론 Ⅲ. 실증분석결과 Ⅳ. 정책적 시사점 |
|
키워드 :서비스화, 서비스산업 |
-원문 파일 링크
http://www.kiet.re.kr/kiet_web/?sub_num=12&state=view&idx=308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