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서비스산업 연관구조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
|
저자(소속) |
이건우 / 산업연구원 |
|
자료유형 |
e-KIET 산업경제정보 |
|
발행일 |
2008년 10월 17일 |
|
원본출처 |
산업연구원 |
|
파일형태 |
|
|
페이지 수 |
12page |
|
요약 및 목차 |
|
○ OECD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과 선진 7개국, 중국을 대상으로 서비스산업의 연관구조를 비교한 결과, 서비스업이 제조업 생산을 유발하는 효과는 선진국에 비해 월등하게 큰 반면, 제조업이 서비스 생산을 유발하는 효과는 대부분의 선진국에 비해 작게 나타남. ○ 한편, 서비스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서비스산업 및 연관산업들의 낮은 부가가치율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음. ○ 재화 및 서비스 생산과정에서의 서비스 투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제조기업 및 서비스기업의 아웃소싱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산업 생산과정에서 중간재로서의 역할이 중요한 유통·물류업과 금융, 통신, 사업서비스 등의 지식기반서비스업을 확충시켜 나가야 할 것임. ○ 또한 서비스산업의 낮은 부가가치유발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R&D, 기술도입, 소프트웨어, 인적투자 등 무형자산의 투자와 서비스혁신을 통해 서비스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제고해 나가야 할 것임.
Ⅰ. 생산과정의 서비스화 비교 Ⅱ. 생산유발효과의 비교 Ⅲ.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의 비교 Ⅳ. 부가가치 및 수입유발효과의 비교 Ⅴ. 시사점 |
|
키워드 :서비스화, 서비스산업 |
-원문 파일 링크
http://www.kiet.re.kr/kiet_web/?sub_num=9&state=view&idx=299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