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원소식
  2. 학술행사 등
  3. KRISI뉴스레터

[DT 시론] 기술적 인문인재 양성하자


김현수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ㆍ한국IT서비스학회장 


지난달에 미국의 한 콘퍼런스에 참석했다가 소셜네트워크의 변화 속도를 실감하였다. 발표자들이 자기 소개를 하는 슬라이드에 대개 이메일과 전화번호가 있는 것이 일상적인데, 이메일과 전화번호가 전혀 없었다. 대신 트위터나 링크드인 아이디를 소개하고 있었다. 종이로 된 인쇄물도 전혀 제공되지 않았다. 그만큼 세상이 온라인화되고 소셜네트워크가 활동의 중심이 되고 있었다.

또 연초부터 아프리카대륙이 주제가 되고 있다. 아프리카 포럼도 발족되고, 신시장 개척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 민주화 바람으로 잠시 주춤하기는 하겠지만 시장의 전 지구적 확산은 계속될 것이다.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들에도 중국ㆍ일본ㆍ호주 등의 자본이 급속히 유입되고 있는 것을 보면, 이제 지구상에 미개척의 경제영토는 없는 듯이 보인다.

경제의 서비스화는 이미 대세가 되었다. 글로벌 외국기업은 물론이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우리나라 대표기업들도 서비스를 통하여, 또는 제품에 서비스를 부가하여 매출과 수익 증대를 추구하고 있다. 애플에서 구글로, 구글에서 페이스북으로, 페이스북에서 그루폰으로 서비스의 가치 증대 추세는 무한한 듯 보인다. 이렇게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선진국에서 미지의 대륙으로, 제품에서 서비스로 경제와 사회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 IT서비스산업의 미래를 생각해본다. 기업의 IT업무 위탁 운영도 주된 사업영역으로 계속될 것이고, 금융시스템이나 정부정보화시스템 구축과 운영 등 기존 대형 사업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다. ICT 신기술을 활용하여 광의의 고객군을 대상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제안을 하면서 신규 사업을 만들어내어 사업을 계속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업의 연장선상에서 산업내에서의 이러한 지속적 혁신 활동으로 우리 IT서비스산업이 경쟁력을 계속 증대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산업간 융합이 예상보다 빠르게 일어나고 있고, IT 지식의 보편화도 생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신서비스와 IT서비스의 구분이 사실상 없어지고 있다. 통신서비스 기업들은 강력한 고객 접점에서의 우위를 활용하여 IT서비스 시장에 진입하고 있고, IT서비스기업들은 통신서비스를 융합시켜 신사업을 계속 발굴하고 있다. 과거 제조업과 유통업의 힘의 균형점이 제조기술의 보편화로 인해 유통업체로 이동을 했던 역사가 상기되고 있다. 또 고객 기업들은 자신들의 산업 도메인 경험과 지식을 이용하여 독자적인 IT서비스 부문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일부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은 경쟁력 있는 솔루션을 서비스화하여 IT서비스기업의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해외 시장의 경우, 그동안 축적된 우리의 프로젝트 역량과 높아진 기술수준으로 인해 사업 수주율 및 성공률이 높아지고 있다. 인프라 구축 사업도 수주가 증가하고 있다. 중급 수준의 시장에서는 당분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만간 중급 수준의 시장이 소진되면, 고급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해야하는 진검승부가 기다리고 있고, 국내에서는 고객들이 고급 서비스를 더욱 저렴한 가격에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다.

신사업 구축에 파괴적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의 IT서비스 비즈니스 모델과 전혀 다른 IT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들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온라인 소셜미디어에서, 선진국의 하이엔드 마켓이나 아프리카 같은 신대륙에서, 주력산업과의 융합에서 시장과 고객의 욕구(wants)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업의 현재 중심을 견지하되, 모든 산업이 서비스화 되듯 모든 비즈니스가 IT서비스 비즈니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IT서비스기업의 인재채용, 인재 모델을 혁신해야 한다. 창의적 기술인재, 기술적 인문인재 모델이 필요하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인수합병도 활발해져야 한다. 경제의 중심으로 IT서비스업의 의식 전환을 위해 지난주 한국IT서비스학회에서 신사업발굴포럼을 창립하였다. 역량있는 민ㆍ관ㆍ학 전문가들의 모임으로 발족하였다. 산업의 파괴적 혁신을 주도하고,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 확보방안을 제시하는 포럼이다. 30년 후 업의 미래를 설계할 리더들의 활약이 기대된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금융 관리시스템 계층화하자 [2011년 09월 14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56
39 공급자 중심 서비스산업 바꾸자 [2011년 07월 2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18
38 `융합 프로젝트` 추진해야 [2011년 06월 0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4
» 기술적 인문인재 양성하자 [2011년 04월 0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48
36 복지ㆍ성장의 공통분모 `일자리` [2010년 12월 24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7
35 스마트시리즈로 지속가능성 높이자 [2010년 09월 17일자 디지털타임스 27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11
34 `서비스경쟁` 활성화로 상생 넓히자 [2010년 08월 0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6
33 `서비스융합촉진법` 만들자 [2010년 07월 0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4
32 `서비스 인프라` 국가가 나서야 [2010년 05월 18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3
31 WBS, 신경제 창출로 연결시키자 [2010년 04월 01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7
30 효율적 전자정부` 구현하자 [2010년 02월 1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4
29 정보화는 국가사업의 근간이다 [2009년 12월 31일자 디지털타임스 15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38
28 초일류 서비스기업 탄생 조건 [2009년 11월 1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99
27 IT제조-서비스업 격차 너무 크다 [2009년 09월 2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2
26 공공IT 아웃소싱 활성화 방안 [2009년 08월 12일자 디지털타임스 19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7
25 국가 R&D서비스 선진화 방안 [2009년 07월 1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9
24 소통과 융합이 선진화의 길 [2009년 06월 0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71
23 국가정보화의 선진화 방안 [2009년 04월 28일자 디지털타임스 31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5
22 IT 서비스산업의 비전 [2009년 03월 24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42
21 일자리를 위한 서비스 선진화 [2009년 02월 13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