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RISI발간자료
  2. 서비스 경제
  3. 서비스산업 연구
  4. 서비스산업연구 관련사이트

 

제목

서비스산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변동요인과 시사점

저자(소속)

박문수 / 산업연구원

자료유형

KIET 산업경제

발행일

2009년 9월 22일

원본출처

산업연구원

파일형태

PDF

페이지 수

14page

 

요약 및 목차

 

본 연구는 서비스산업 및 서비스산업의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변화-구성 요인분해(shift-share decom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의 비중확대가 생산성 하락을 유발하여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보몰의 세계(Baumol’s world)에 빠져있는지 아니면, 생산성 상승을 통해 경제 성장률을 제고하는 울튼의 세계(Oulton’s world)에 머물러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은 서비스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구조변화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제조업의 구조가 고부가가치화와 더불어 고생산성 업종으로 고용이 재배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효과는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그 진행속도는 점점 하락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노동생산성 변화와 고용변화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는 교차효과는 분석기간 전체에 걸쳐 음(-)의 부호를 나타내고 있어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은 여전히“보몰의 질병(Baumol’s disease)”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업종별 결과는 도소매, 음식 및 숙박, 교육서비스, 공공행정,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등의 사회서비스업과 같은 저부가가치 업종의 지나친 비대화가 서비스산업 저생산성의 1차적인 원인으로 나타났다.

Ⅰ. 머리말

 

Ⅱ.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요인분해

 

Ⅲ. 서비스 산업의 업종별 노동생산성 요인분해

 

Ⅳ. 정책적 시사점

 

키워드 :서비스산업, 노동생산성

 

-원문 파일 링크

http://www.kiet.re.kr/kiet_web/?sub_num=12&state=view&idx=30921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유망 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방향

가구구조 변화가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서비스수출 지원시스템 구축방안

서비스산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변동요인과 시사점

국내 서비스산업의 혁신활동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서비스 특성과 혁신지원체제의 관계에 관한 실증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서비스산업 연관구조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서비스산업 혁신지원체제 연구

서비스화를 통한 국내 주력산업의 신성장전략

서비스산업의 메가트렌드와 정책대응 방향

서비스화가 산업간 연관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서비스산업의 수출 활성화와 고용 확대

서비스산업 혁신의 결정요인 분석과 시사점

한국경제가 서비스 부문을 키워야 하는 몇 가지 이유

개방과 소통이 만드는 서비스 사업의 혁신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프로세스 혁신과 서비스 경쟁력

한국 서비스업 고용의 특징과 개선방안

투자부진 탈출의 활로-서비스산업

한국 서비스 교역의 경쟁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