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원소식
  2. 학술행사 등
  3. KRISI뉴스레터

  

[DT 시론] 국가 R&D서비스 선진화 방안


김현수 한국IT서비스학회장ㆍ국민대 경영학부 교수 


금융위기가 다소 진정되어 가면서 위기 이후의 한국경제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그 논의의 핵심에 중장기적인 국가경쟁력 강화전략이 있는데, 그 강화전략의 핵심에 연구개발(R&D) 시스템의 선진화가 있다. 필자가 최근 미국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책임자급 몇 사람을 현지 인터뷰하면서 느낀 생각은 미국도 연구개발시스템의 선진화가 필요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좋은 연구제안서가 들어오지 않는다고 그들도 걱정하고 있었고, 연구비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 걱정하고 있었다. 대학의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고, 대학에 대한 통제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음을 개탄하고 있었다. 우리 정부나 연구지원기관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으리라고 짐작해본다.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시스템 선진화의 모습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 기초연구, 창조적 원천 기술 연구가 부족하니 이러한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고 오래 전부터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기초연구, 원천연구의 비중은 여전히 매우 낮은 상황이다. 연구개발 결과에 대한 평가관리 시스템이 선진화되어야 한다고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양적인 관리에 치중하고 성과보다는 프로세스관리에 치중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기존의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을 하는 하드 R&D와 제품이나 기술의 가치를 높이는 R&D인 소프트 R&D를 결합한 새로운 유형의 스마트 R&D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외형적으로는 선진화의 모습이 스마트 R&D 강화, 기초연구 및 원천 연구 비중 확대, 연구개발에 대한 질적인 성과중심 관리와 같은 모습일 것이다. 그러나, 선진화에는 지원 비중보다 과정과 내용이 더 중요한 과제다. 지원 비중이 질적인 성장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직접 연결된다면, 어느 나라가 선진국이 되지 못하겠는가. 개발연구 비중을 줄이는 것이 현재 한국경제 상황에서 반드시 바람직한 일인가,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도 적절한 수준의 개발연구비중 유지는 필요할 것이다. 기초원천연구비를 늘린다고 정말 창의적인 기초원천연구가 많이 수행될 것인가? 쉽지 않은 일이다. 학문과 시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있어야 하고, 연구자들이 자신을 깊이 있는 연구주제에 집중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확대방안을 더욱 고민해야 한다.

문제의 원인은 외형적인 큰 모습에 있지 않고, 실천 체계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개발 시스템을 하나의 서비스시스템으로 보고 전략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연구개발서비스는 매우 동태적이고, 여러 이해관계자가 개입되고, 또 영향력이 중장기적이고, 그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복잡계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고도의 과학이 개입되어야 한다. 서비스사이언스를 적용하여 연구개발 서비스 시스템을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해관계자와 품질과 국가경쟁력의 관계가 시스템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또 독일의 프라운호퍼연구회(FhG: Fraunhofer Gesellschaft) 같은 대형연구소 양성, 민간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임상시험수탁기관)의 활성화로 연구소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일도, 피상적인 접근이 아니라 과학에 의해 분석된 결과로 그 방법이 도출되어야 한다. 연구비 배분시스템, 제안요청시스템, 평가시스템, 결과피드백시스템, 종합관리시스템 등도 하나의 체계내에서 과학에 의해 분석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연구개발과 인력양성 체제의 결합, 포괄지원금(block grant)제 도입 방식 등을 포함한 연구비 지원방식의 최적화는 분석이 선행되지 않고 정책결정자의 판단만으로 수행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일이다.

국가 연구개발서비스를 선진화하는 일은 민간 연구개발과 국가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일이므로, 더 많은 과학이 적용되어야 한다.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금융 관리시스템 계층화하자 [2011년 09월 14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56
39 공급자 중심 서비스산업 바꾸자 [2011년 07월 2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18
38 `융합 프로젝트` 추진해야 [2011년 06월 0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4
37 기술적 인문인재 양성하자 [2011년 04월 0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48
36 복지ㆍ성장의 공통분모 `일자리` [2010년 12월 24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7
35 스마트시리즈로 지속가능성 높이자 [2010년 09월 17일자 디지털타임스 27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11
34 `서비스경쟁` 활성화로 상생 넓히자 [2010년 08월 0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5
33 `서비스융합촉진법` 만들자 [2010년 07월 0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3
32 `서비스 인프라` 국가가 나서야 [2010년 05월 18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3
31 WBS, 신경제 창출로 연결시키자 [2010년 04월 01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7
30 효율적 전자정부` 구현하자 [2010년 02월 1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4
29 정보화는 국가사업의 근간이다 [2009년 12월 31일자 디지털타임스 15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37
28 초일류 서비스기업 탄생 조건 [2009년 11월 12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99
27 IT제조-서비스업 격차 너무 크다 [2009년 09월 2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2
26 공공IT 아웃소싱 활성화 방안 [2009년 08월 12일자 디지털타임스 19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6
» 국가 R&D서비스 선진화 방안 [2009년 07월 1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38
24 소통과 융합이 선진화의 길 [2009년 06월 05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71
23 국가정보화의 선진화 방안 [2009년 04월 28일자 디지털타임스 31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825
22 IT 서비스산업의 비전 [2009년 03월 24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41
21 일자리를 위한 서비스 선진화 [2009년 02월 13일자 디지털타임스 23면 기사] image 사무국 2014-08-22 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