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14.4.7(월)
THE SERVICE TIMES | |
| |
| | |
| |
| |
 |
|
이제는 서비스업 활성화다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창출은 이제 서비스산업 육성에 달려있다. 선진국들의 경제구조 변화를 보면 고용과 GDP내 비중이 서비스업에서 증가해 왔음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제조업은 산업화 초기단계에서 두 가지 영역의 비중은 증가하다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축소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든다. 반면 서비스업은 일자리창출에서 경제성장과 비례하곤 한다.
선진국으로 이행될수록 서비스업에서의 사업체와 종사자수는 제조업에 비해 비중이 높다.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은 육성이 필요한 유망분야라기 보다는 ‘규제와 보호’의 대상으로 취급 받아오는 동안 경쟁력은 선진국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OECD와 한국은행에서 발행하는 서비스산업 경쟁력을 나타내는 서비스무역수지를 보면 2003년 -5,792백만 달러, 2011년 -5,850백만 달러로 오랫동안 적자국인 상태로 유지해오다가 2012년 처음으로 5,734백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주요 선진국의 서비스무역수지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지만 주변 일본(-31,196)이나 중국(-898)에 비하면 경쟁력이 있는 편이다...(경남일보) |
|
| | |
| | |
| |
Headline
[파노라마] 정부, 콘텐츠산업 육성에 '팔 걷어붙였다' (BBS)
한경연, 2014년 성장률 3.5% 전망 (아주경제)
경제청·미단시티·리포&시저스 '영종도 복합리조트 성공' 머리 맞댔다 (경기일보)
경북도 "관광산업을 새 성장동력으로" (서울경제)
[에셋플러스] 지금 글로벌마켓은-영국 (서울경제)
|
|
서비스산업 연구
|
| |
| |
|
 |
[서비스 정책]
서비스산업 육성전략,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산업 분야별 주요 정책 등 |
|
 |
 |
[서비스 R&D]
서비스 R&D 현황, 서비스 R&D 투자, 서비스 R&D 추진 전략, 서비스 R&D 기획 등 |
|
| |
|
 |
[서비스산업 일반]
서비스산업 혁신, 서비스산업 수출, 서비스산업 융합, 서비스산업 표준화 등 |
|
 |
 |
[서비스산업 연구]
유통서비스, 관광서비스, 의료서비스, 문화서비스 등 서비스산업별 연구자료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