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3.12.10(화)
THE SERVICE TIMES | |
|
| |
|
|
 |
|
빅데이터, 관심은 많은데 전문가는 부족하다?
안전행정부는 올 연말까지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공데이터 110종을 즉시 개방하고, 2017년까지 소관 공공데이터 180종을 전면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공 데이터 개방은 투명하고 유능한 서비스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정부3.0의 핵심과제로 알려졌다. 정부는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함으로써 국민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와 소통 확대, 새로운 지식정보산업의 육성에도 기여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를 비롯한 전 산업에서의 ICT 융합 확산과 관련 수요 증가로 2014년도 국내 데이터베이스 산업은 12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비례해 빅데이터를 추진할 수 있는 전문가 수요 또한 한층 높아지고 있다. 빅데이터를 창조경제의 원동력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그 기초가 되는 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갖춘 전문가 양성은 필수이다...(정책브리핑) |
|
| |
| |
|
Headline
[기획] 고용시장에 훈풍 불러오고 있지만…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질 여전히...(국민일보)
<일자리 막는 경제민주화>“서비스업 고용양태, 전체 산업에 큰 영향” (문화일보)
"레저·서비스업 구조적 성장…GKL·파라다이스 최선호"-IBK (한국경제)
[올해 꼭 통과시켜야 할 10대 법안] 學校 옆 호텔은 무조건 不許… 일자리 4만...(조선일보)
[경제와미래]전북의 미래 서비스산업이 대안이다 (새전북신문)
|
|
서비스산업 연구
|
|
|
|
 |
[서비스 정책]
서비스산업 육성전략,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산업 분야별 주요 정책 등 |
|
 |
 |
[서비스 R&D]
서비스 R&D 현황, 서비스 R&D 투자, 서비스 R&D 추진 전략, 서비스 R&D 기획 등 |
|
|
|
 |
[서비스산업 일반]
서비스산업 혁신, 서비스산업 수출, 서비스산업 융합, 서비스산업 표준화 등 |
|
 |
 |
[서비스산업 연구]
유통서비스, 관광서비스, 의료서비스, 문화서비스 등 서비스산업별 연구자료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