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3.11.20(수)
THE SERVICE TIMES | |
|
| |
|
|
 |
|
서비스산업 고부가가치화…양질의 일자리 창출
최근 대내외 경제가 턴어라운드 하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기업의 투자심리가 회복되고 소비심리도 되살아나고 있다. 경제활성화를 위한 기회가 왔다는 뜻이다. 정부는 실기(失機)의 우를 범하지 않도록 그동안 마련한 정책패키지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데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관련 법안의 입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또한 서민생활 지원을 위한 각종 민생대책 관련 입법 조치도 시급하다. 경제활성화와 민생안정을 위해 이번 정기국회에서 입법이 꼭 필요한 주요 법안들의 내용과 기대효과 등을 살펴본다. (편집자)
박근혜 대통령은 1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투자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를 전 산업으로 확산할 것”이라며 특히 “의료, 교육, 금융, 관광 등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비스산업이 내수기반 확충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끌며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산업 분야이기 때문이다 ...(정책브리핑) |
|
| |
| |
|
Headline
특허 정보로 정부 3.0과 창조경제 실현한다? (전자신문)
[해양플랜트 부가가치 살리자] <중> 서비스분야를 제2 캐시카우로 (서울경제)
'FEZ 1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외국인 직접투자 10년간 50억弗...(한국경제)
“일자리 창출? 제품·서비스 나올 여건부터 만들어야” (데일리안)
“1인개발자ㆍ벤처 중심 DB 사용환경 조성을” (디지털타임스)
|
|
서비스산업 연구
|
|
|
|
 |
[서비스 정책]
서비스산업 육성전략,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산업 분야별 주요 정책 등 |
|
 |
 |
[서비스 R&D]
서비스 R&D 현황, 서비스 R&D 투자, 서비스 R&D 추진 전략, 서비스 R&D 기획 등 |
|
|
|
 |
[서비스산업 일반]
서비스산업 혁신, 서비스산업 수출, 서비스산업 융합, 서비스산업 표준화 등 |
|
 |
 |
[서비스산업 연구]
유통서비스, 관광서비스, 의료서비스, 문화서비스 등 서비스산업별 연구자료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