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3.9..4(수)
THE SERVICE TIMES | |
|
| |
|
|
 |
|
KDI “창조서비스업 고용 창출에 가장 효과적”
창조서비스업이 임금근로자의 고용 창출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3일 발간한 'KDI 서비스경제 브리프 창간호'에 따르면 김승주 전문연구원은 '창조서비스업의 산업특성과 산업연관관계'라는 보고서를 통해 창조서비스업의 고용.부가가치 생산 능력이 제조업보다 높다고 밝혔다. 창조서비스업은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 분류상 방송, 연구 활동, 사업서비스, 교육, 문화.오락 등 5개 부문을 말한다. 이들 부문이 전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4%로, 기타 서비스업(51.8%), 제조업(17.9%)에 이어 세 번째다. 2011년 기준 창조서비스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5.8명으로 제조업(7.2명)이나 사회간접자본(SOC.10.6명)보다 높고 기타 서비스업(15.9명)과 비슷했다.
취업유발계수란 해당 부문에 10억원의 추가 수요가 생길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일자리를 말한다. 즉 창조서비스업 분야의 부가가치가 10억원 늘 때 약 16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졌다는 얘기다...(파이낸셜뉴스) |
|
| |
| |
|
Headline
국내 통계산업 규모 1조1000억원... 10년간 4배 성장 (전자신문)
"강원 의료·관광산업 메카로 성장해야" (강원도민일보)
[공기업 창조경영]지식 네트워크 활용… 지역사회와 함께 상생하는 길 모색 (동아일보)
[시론] `아이디어 회사`에 주목하자 (디지털타임스)
영익률 '10%↑'33곳, 강원랜드·KT&G 중독성 업종'기염' (CEO스코어데일리)
|
|
서비스산업 연구
|
|
|
|
 |
[서비스 정책]
서비스산업 육성전략,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산업 분야별 주요 정책 등 |
|
 |
 |
[서비스 R&D]
서비스 R&D 현황, 서비스 R&D 투자, 서비스 R&D 추진 전략, 서비스 R&D 기획 등 |
|
|
|
 |
[서비스산업 일반]
서비스산업 혁신, 서비스산업 수출, 서비스산업 융합, 서비스산업 표준화 등 |
|
 |
 |
[서비스산업 연구]
유통서비스, 관광서비스, 의료서비스, 문화서비스 등 서비스산업별 연구자료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