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3.8.19(월)
THE SERVICE TIMES | |
|
| |
|
|
 |
|
<금융지주가 창조경제 이끈다>
금융에 과학·문화 융합…新시장 가속
박근혜 정부가 경제정책의 화두로 제시한 것은 바로 ‘창조경제’다.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 가치로 두고, 다양한 산업간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창조경제의 핵심이다. 새로운 영역의 도전이 전제가 되다 보니 금융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박근혜 대통령이 금융정책에 유독 신경을 쓰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에 따라 KB, 신한, 하나, 우리, KDB, 농협 등 국내 대표적 금융지주사들은 창조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창조금융’ 실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산업은행(KDB)금융지주는 ‘정책금융의 맏형’을 자임하며 창조금융 지원에 적극적이다. 특히 정책금융 체제 개편을 통해 산은지주가 대내 정책금융을 총괄하게 되면 산은은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창조금융 정책을 총괄할 수 있게 된다.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 역시 정부 출연금만 바라기보다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자체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기로 하는 등 창조금융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헤럴드경제) |
|
| |
| |
|
Headline
GDP 4만달러 시대…"의료로봇에서 길을 찾다" (전자신문)
ICT 신기술을 활용, 절전한 양만큼 시장에 되팔 수 있게 된다 (공감코리아)
靑·정부 "경제활성화 14개 法案 국회가 발목 잡아" (조선일보)
[사설] 농업의 6차산업화, 대자본이 참여해야 (한국경제)
中 국무원, 550조 원 '실버시장' 해외자본 유치 (뉴스핌)
|
|
서비스산업 연구
|
|
|
|
 |
[서비스 정책]
서비스산업 육성전략,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 서비스산업 분야별 주요 정책 등 |
|
 |
 |
[서비스 R&D]
서비스 R&D 현황, 서비스 R&D 투자, 서비스 R&D 추진 전략, 서비스 R&D 기획 등 |
|
|
|
 |
[서비스산업 일반]
서비스산업 혁신, 서비스산업 수출, 서비스산업 융합, 서비스산업 표준화 등 |
|
 |
 |
[서비스산업 연구]
유통서비스, 관광서비스, 의료서비스, 문화서비스 등 서비스산업별 연구자료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