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SERVQUAL 기법을 이용한 교통수단별 서비스 품질 평가 |
저자(소속) | 김종학,김익기 국토연구원 |
자료유형 | 논문 |
발행일 | 2010년 |
원본출처 | 국토연구(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
파일형태 | |
페이지 수 | 20page |
초록 |
정부는 다양한 대중교통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여 왔으나 승용차 분담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6년 이후 수도권의 광역철도는 125km 확충되었으나 동기간 대중교통 분담률은 1.6% 감소한 반면 승용차 수요는 5.1%나 증가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단선택 시 통행자들이 수단별로 다르게 생각하는 서비스 품질을 파악하는 것이다. 교통서비스 품질은 SERVQUAL 모형을 통해 측정하였다. SERVQUAL 모형은 서비스 품질을 기대치(기대만족도)와 지각치(실제 만족도)의 차이로 측정한다. 서비스 품질 측정결과, 정시성 품질에서는 수단 간 차이가 없는 반면 편리성 항목에서는 승용차가 대중교통보다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승용차 수요를 대중교통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단 간 서비스 품질 차이에 대한 분석없이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어 승용차 수요는 늘고 대중교통 수요는 줄어들고 있다. 대도시권 교통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단 간 서비스 품질 차이 파악을 통한 합리적인 교통정책대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
키워드 : SERVQUAL ,Expectation Value ,Perception Value ,IPA ,교통서비스 품질 ,서브퀄 ,교통수단 만족도 ,중요도-성과분석 |
-원문 파일 링크
http://www.riss.kr/link?id=A82264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