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RISI발간자료
  2. 서비스 경제
  3. 서비스산업 연구
  4. 서비스산업연구 관련사이트

 

제목

수도권 및 비수도권 간 서비스업 생산성 격차 및 결정요인 분석

저자(소속)

박추환 국제지역학회

자료유형

논문

발행일

2012

원본출처

국제지역연구(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IASR))

파일형태

PDF

페이지 수

17page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16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1990년부터 2009년까지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을 1인당 부가가치와 총요소 생산성으로 나누어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1인당 부가가치 생산성에서는 전체 지역별 산업규모가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비교해보면 산업규모와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수도권의 탄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본적으로 자본이 축적된 지역에서 지역별 부가가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이른바 규모에 의한 수확체증이 있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총요소 생산성 측면에서는 수도권 지역보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산업규모와 규모의 경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지역의 경우 R&D가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별 자본이 지역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 이와 같은 산업구조에서 서비스업 생산성이 수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이는 지역소득의 격차를 가속화 시킬 주요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정부는 지역균형개발을 서비스업의 발전측면에서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앞으로 지역의 귀착 소득과 서비스업 생산성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방향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 서비스산업 노동 생산성 ,지역소득격차 ,Productivity of Labor ,Service Industries ,Regional Income Disparity

 

-원문 파일 링크

http://www.riss.kr/link?id=A99567949

문서 첨부 제한 : 0Byte/ 2.00MB
파일 제한 크기 : 2.00MB (허용 확장자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 서비스산업 혁신활동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사무국 2013-08-23 917
18 서비스혁신 유형의 전략적 연계에 관한 연구 사무국 2013-08-23 917
17 산업간 공행성 추이 분석 사무국 2013-08-23 910
16 전자바우처 도입과 사회서비스산업의 환경 변화 사무국 2013-08-23 914
15 한국 서비스기업의 대중국 현지화 전략 사무국 2013-08-23 987
14 서비스산업 고용구조와 일자리 창출 전략 사무국 2013-08-23 916
13 주요국의 서비스 교역장벽 측정과 정책 시사점 사무국 2013-08-23 923
12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3국의 서비스산업 비교 분석 사무국 2013-08-23 922
11 OECD 회원국의 서비스산업 분석: 산업구조, 파급효과, 생산성을 중심으로 사무국 2013-08-23 915
10 한·중·일 서비스산업 직접투자현황과 역내협력 활성화 방안 사무국 2013-08-23 922
9 중·홍콩 CEPA 서비스 양허안 분석을 통한 한·중 FTA 서비스 협상전략 연구 사무국 2013-08-23 919
8 정부R&D투자의 의사결정 지원과 분석 서비스 구축방안 연구 사무국 2013-08-23 918
7 정부 R&D 예산편성 지원을 위한 심층이슈 분석: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R&D 투자방향 연구 사무국 2013-08-23 907
» 수도권 및 비수도권 간 서비스업 생산성 격차 및 결정요인 분석 사무국 2013-08-05 905
5 서비스 기업에서의 관계혜택이 관계몰입과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업종별 비교- 사무국 2013-08-05 921
4 서비스 고객유형별 추구관계 효익의 차이 분석 사무국 2013-08-05 905
3 서비스 대기의 심리학적 접근 -서비스 대기시간 추정에 관한 개념적 연구- 사무국 2013-08-05 902
2 서비스산업의 혁신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무국 2013-08-05 910
1 서비스산업 고용구조와 일자리 창출 전략 사무국 2013-08-02 910